(경기도)광주에서 시민주권과 시민자치, 시민연대를 기치로 내걸고 시민활동가, 전문가와 마을공동체 구성원 등 53명의 광주 인사들이 지역기반 시민운동단체인 ‘광주참여자치시민연대’(약칭: 광주시민연대)를 창립했다.

광주는 급격한 인구유입으로 도시인구가 40만 명을 훌쩍 넘어셨다.

지난 15일 가진 창립식에서 광주시민연대 발기인들은 창립선언문 낭독을 통해 “민주주의와 천부인권의 가치를 세상에 움틔운 너른 고을 광주의 정신과 시민운동의 가치를 광주에 되살리기 위해 상설적인 범시민공동체로 시민의 힘을 키워 진정한 주인이 되기 위해 나섰다”면서 “광주와 광주시민이 마땅히 누려야할 시민주권, 시민자치, 시민연대를 위한 큰 발걸음을 내딛는다”고 밝혔다.

광주시민연대는 난개발, 물류단지, 낙후된 주거환경, 교통난, 보행로 부족 등 고질화되는 ‘광주병’을 더 이상 방치하거나 기대하지 않고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핵심사업으로 ▲시민의 삶을 제대로 바꾸는 조례제정 ▲제대로 된 주민자치회 전면 도입 ▲민간특례 5대공원 시민거버넌스 도입 ▲ 난개발-물류단지 문제 근본적 해결 ▲ 정보공개 청구, 의정감시, 감사청구 등 시민권리찾기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창립식에서는 경실련 등 시민단체와 기아대책 등 자선단체를 세우는 등 공익활동의 대가로 광주시민연대의 고문으로 위촉된 손봉호 교수가 ‘세상을 바꾸는 시민’이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손 교수는 “권력의 힘은 부패하는 경향이 있고 절대권력은 절대로 부패하기에 민주주의는 다수결이 아니라 권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으로 우수한 것”이라면서, “삼권분립과 함께 권력감시의 역할은 시민을 대신해 시민단체가 수행한다”면서 “시민단체의 유일한 힘은 시민들의 지지로 오직 도덕성과 공익으로 공직자, 시민, 시민단체 모두에게 이익이 되고 영예로운 단체로 발전해야 할 것”을 당부했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상임대표로 구재이(세무법인 굿택스 대표) 씨를, 공동대표로 권재형(성문밖학교 교장), 김진관(광주시장애인연맹 회장), 백남욱(남사모 대표), 이서인(광주시 마을활동가)과 함께 청년 공동대표로 이지희(단국대 소프트웨어융합콘텐츠학과 2년) 씨를 선출했다. 아울러 상설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를 구성할 17명의 이사를 선출했다.

구재이 상임대표는 “앞으로 광주시민연대는 시민들과 함께 하고 시민들만 바라보면서 누적된 ‘광주병’을 고치기 위해 시민들의 어려움을 공직자와 시민공동체와 함께 상의하면서 열심히 사업과 활동을 해나가겠다”면서 “제대로된 시민운동을 통해 시민들의 마음을 시원하게 하고 광주의 영광을 되살릴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시민연대는 일체의 정부보조금 없이 예산은 회원의 회비만으로 운영되고, 임원들은 정당가입이 금지되며, 정치인이나 정치출마자는 임원 선임은 물론 회원 가입까지 제한된다고 밝혔다. 각 마을공동체와 지역조직과 함께하는 자주적인 지역 시민운동 공동체를 지향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전국 18개 지역조직을 둔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와 연대활동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대한민국 세정의 파수꾼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